33회기출 34

[33회 기출/2022년] 부동산학개론 14. 상업입지론

14. 레일리(W. Reilly)의 소매중력모형에 따라 C신도시의 소비자가 A도시와 B도시에서 소비하는 월 추정소비액은 각각 얼마인가? (단, C신도시의 인구는 모두 소비자이고, A, B도시에서만 소비하는 것으로 가정함) ㅇ A도시 인구: 50,000명, B도시 인구: 32,000명 ㅇ C신도시: A도시와 B도시 사이에 위치 ㅇ A도시와 C신도시 간의 거리: 5km ㅇ B도시와 C신도시 간의 거리: 2km ㅇ C신도시 소비자의 잠재 월 추정소비액: 10억원 ① A도시: 1억원, B도시: 9억원 ② A도시: 1억 5천만원, B도시: 8억 5천만원 ③ A도시: 2억원, B도시: 8억원 ④ A도시: 2억 5천만원, B도시: 7억 5천만원 ⑤ A도시: 3억원, B도시: 7억원 정답. ③ 해설. 상업입지론 중 중..

[33회 기출/2022년] 부동산학개론 13. 지대이론

13. 다음 설명에 모두 해당하는 것은? ㅇ 서로 다른 지대곡선을 가진 농산물들이 입지경쟁을 벌이면서 각 지점에 따라 가장 높은 지대를 지불하는 농업적 토지이용에 토지가 할단된다. ㅇ 농산물 생산활동의 입지경쟁 과정에서 토지 이용이 할당되어 지대가 결정되는데, 이를 입찰지대라 한다. ㅇ 중심지에 가까울수록 집약 농업이 입지하고, 교외로 갈수록 조방 농업이 입지한다. ① 튀넨(J.K.von Thunen)의 위치지대설 ② 마샬(A. Marshall)의 준지대설 ③ 리카도(D. Ricardo)의 차액지대설 ④ 마르크스(K. Marx)의 절대지대설 ⑤ 파레토(V. Pareto)의 경제지대론 정답. ① 해설. 농업관련 지대이론에서 입지경쟁이라는 키워드가 등장하는 것은 튀넨의 위치지대설 밖에 없다. 중심지에 가까운..

[33회 기출/2022년] 부동산학개론 12. 정당한 정보비용

12. 대형마트가 개발된다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있을 때 합리적인 투자자가 최대한 지불할 수 있는 이 정보의 현재가치는? (단, 주어진 조건에 한함) ㅇ 대형마트 개발예정지 인근에 일단의 A토지가 있다. ㅇ 2년 후 대형마트가 개발될 가능성은 45%로 알려져 있다. ㅇ 2년 후 대형마트가 개발되면 A토지의 가격은 12억 1,000만원, 개발되지 않으면 4억 8,400만원으로 예상된다. ㅇ 투자자의 요구수익률(할인율)은 연 10%이다. ① 3억 1,000만원 ② 3억 2,000만원 ③ 3억 3,000만원 ④ 3억 4,000만원 ⑤ 3억 5,000만원 정답. ③ 해설. 정당한 정보비용(=정보획득으로 인해 발생하는 초과이윤) 계산문제로, 정보가치를 현재가치로 할인하면된다. 정보의 현재가치 = 정보가치 / 현재..

[33회 기출/2022년] 부동산학개론 11.상업입지론

11. 다음 성명에 모두 해당하는 입지이론은? ㅇ 인간정주체계의 분포원리와 상업입지의 계층체계를 설명하고 있다. ㅇ 재화의 도달거리와 최소요구치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으로 최소요구치가 재화의 도달범위 내에 있을 때 판매자의 존속을 위한 최소한의 상권 범위가 된다. ㅇ 고객의 다목적 구매행동, 고객의 지역 간 문화적 차이를 반영하지 않았다는 비판이 있다. ① 애플바움(W. Applebaum)의 소비자분포기법 ② 레일리(W. Reilly)의 소매중력모형 ③ 버제스(E. Burgess)의 동심원이론 ④ 컨버스(P. Converse)의 분기점 모형 ⑤ 크리스탈러(W. Christaller)의 중심지이론 정답. ⑤ 해설. 중심지 유지에 필요한 최소한의 범위(최소요구치)가 재화를 구매하기 위해 고객이 기꺼이 통행할..

[33회 기출/2022년] 부동산학개론 10. 허프의 확률모형

10. 허프(D. Huff)모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단, 다른 조건은 동일함) ㄱ. 어떤 매장이 고객에게 주는 효용이 클수록 그 매장이 고객들에게 선택될 확률이 더 높아진다는 공리에 바탕을 두고 있다. ㄴ. 해당 매장을 방문하는 고객의 행동력은 방문하고자 하는 매장의 크기에 비례하고, 매장까지의 거리에 반비례한다. ㄷ. 공간(거리)마찰계수는 시장의 교통조건과 매장물건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 값이며, 교통조건이 나빠지면 더 커진다. ㄹ. 일반적으로 소비자는 가장 가까운 곳에서 상품을 선택하려는 경향이 있다. ㅁ. 고정된 상권을 놓고 경쟁함으로써 제로섬(zero-sum)게임이 된다는 한계가 있다. ① ㄱ, ㄴ ② ㄴ, ㄷ, ㄹ ③ ㄷ, ㄹ, ㅁ ④ ㄱ, ㄴ, ㄷ, ㅁ ⑤ ㄱ, ㄴ,ㄷ..

[33회 기출/2022년] 부동산학개론 9. 부동산 시장

9. 부동산시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다른 조건은 동일함) ① 부동산시장에서는 정보의 비대칭성을 인해 부동산가격의 왜곡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② 부동산시장은 장기보다 단기에서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크므로 단기 수급조절이 용이하다. ③ 부동산시장은 규모, 유형, 품질 등에 따라 세분화 되고, 지역별로 구분되는 특성이 있다. ④ 부동산시장에서는 일반적으로 매수인의 제안가격과 매도인의 요구가격 사이에서 가격이 형성된다. ⑤ 부동산시장은 불완전하더라도 할당효율적일 수 있다. 정답. ② 해설. ② 부동산 시장은 장기공급이 단기공급보다 더 탄력적이다. 또, 대체제가 많고 선택의 폭이 넓을수록(세분화된 시장, 용도 전환 용이한 시장) 더 탄력적인 특성을 지닌다.

[33회 기출/2022년] 부동산학개론 8. 균형점의 이동

8. A지역 아파트시장에서 공급은 변화하지 않고 수요는 다음 조건과 같이 변화하였다. 이 경우 균형가격(ㄱ)과 균형거래량(ㄴ)의 변화는? (단, P는 가격 Qd1, Qd2는 수요량, Qs는 공급량, X축은 수량, Y축은 가격을 나타내고, 가격과 수량의 단위는 무시하며, 주어진 주건에 한함) ㅇ 수요함수: Qd1 = 120 - 2P (변화 전) → Qd2 = 120 - 3/2P (변화 후) ㅇ 공급함수: Qs = 2P - 20 ① ㄱ: 5 상승, ㄴ: 5 증가 ② ㄱ: 5 상승, ㄴ: 10 증가 ③ ㄱ: 10 상승, ㄴ: 10 증가 ④ ㄱ: 10 상승, ㄴ: 15 증가 ⑤ ㄱ: 15상승, ㄴ: 15 증가 정답. ② 해설. A. 변화 전 두 함수의 균형가격과 균형거래량 구하기 공급함수 Qs = 2P - 20..

[33회 기출/2022년] 부동산학개론 7. 부동산경기변동

7. 부동산경기변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상향시장 국면에서는 부동산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거래량은 감소한다. ② 후퇴시장 국면에서는 경기상승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경기의 정점에 도달한다. ③ 하향시장 국면에서는 건축허가신청이 지속적으로 증가한다. ④ 회복시장 국면에서는 매수자가 주도하는 시장에서 매도자가 주도하는 시장으로 바뀌는 경향이 있다. ⑤ 안정시장 국면에서는 과거의 거래가격을 새로운 거래가격의 기준으로 활용하기 어렵다. 정답. ④ 해설. 부동산경기변동의 유형에는 순환적 변동, 계절적 변동, 무작위적(불규칙, 우발적) 변동 등의 모습이 나타난다. 순환변동은 '회복기->상향기->후퇴기->하향기'의 모양으로 반복되는데, 호황시장(회복시장·상향시장→매도자중시, 사례는 하한치)은 미래 가격 ..

[33회 기출/2022년] 부동산학개론 6. 균형점의 이동

6. A지역 단독주택 시장의 균형가격과 균형거래량의 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수요곡선은 우하향하고 공급곡선은 우상향하며, 다른 조건은 동일함) ① 수요가 불변이고 공급이 감소하는 경우, 균형가격은 하락하고 균형거래량은 감소한다. ② 공급이 불변이고 수요가 증가하는 경우, 균형가격은 상승하고 균형거래량은 감소한다. ③ 수요와 공급이 동시에 증가하고 공급의 증가폭이 수요의 증가폭보다 더 큰 경우, 균형가격은 상승하고 균형거래량은 증가한다. ④ 수요와 공급이 동시에 감소하고 수요의 감소폭이 공급의 감소폭보다 더 큰 경우, 균형가격은 하락하고 균형거래량은 감소한다. ⑤ 수요는 증가하고 공급이 감소하는데 수요의 증가폭이 공급의 감소폭보다 더 큰 경우, 균형가격은 상승하고 균형거래량은 감소한다. 정..

[33회 기출/2022년] 부동산학개론 5. 탄력성 계산

5. 오피스텔 시장에서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0.5이고, 오피스텔의 대체재인 아파트 가격에 대한 오피스텔 수요의 교차탄력성은 0.3이다. 오피스텔 가격, 오피스텔 수요자의 소득, 아파트 가격이 각각 5%씩 상승함에 따른 오피스텔 전체 수요량의 변화율이 1%라고 하면, 오피스텔 수요의 소득탄력성은? (단, 오피스텔과 아파트 모두 정상재이고,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절댓값으로 나타내며, 다른 조건은 동일함) ① 0.2 ② 0.4 ③ 0.6 ④ 0.8 ⑤ 1.0 정답. ② 해설. ㄱ. 가격, 소득, 다른 재화의 가격이 각각 5% 상승시 각각의 수요량의 변화율 먼저 구하기 1) 가격탄력성 = 수요량의 변화율(a) / 가격변화율 0.5 = a / 5 a = - 2.5 (정상재의 가격과 수요량은 반비례하므로, 가격변화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