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중개사1차 35

[33회 기출/2022년] 부동산학개론 5. 탄력성 계산

5. 오피스텔 시장에서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0.5이고, 오피스텔의 대체재인 아파트 가격에 대한 오피스텔 수요의 교차탄력성은 0.3이다. 오피스텔 가격, 오피스텔 수요자의 소득, 아파트 가격이 각각 5%씩 상승함에 따른 오피스텔 전체 수요량의 변화율이 1%라고 하면, 오피스텔 수요의 소득탄력성은? (단, 오피스텔과 아파트 모두 정상재이고,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절댓값으로 나타내며, 다른 조건은 동일함) ① 0.2 ② 0.4 ③ 0.6 ④ 0.8 ⑤ 1.0 정답. ② 해설. ㄱ. 가격, 소득, 다른 재화의 가격이 각각 5% 상승시 각각의 수요량의 변화율 먼저 구하기 1) 가격탄력성 = 수요량의 변화율(a) / 가격변화율 0.5 = a / 5 a = - 2.5 (정상재의 가격과 수요량은 반비례하므로, 가격변화율..

[33회 기출/2022년] 부동산학개론 4. 공급요인

4. 신규주택시장에서 공급을 감소시키는 요인을 모두 고른 것은?(단, 신규주택은 정상재이며, 다른 조건은 동일함) ㄱ. 주택가격의 하락 기대 ㄴ. 주택건설업체 수의 감소 ㄷ. 주택건설용 토지의 가격 하락 ㄹ. 주택건설에 대한 정부 보조금 축소 ㅁ. 주택건설기술 개발에 따른 원가절감 ① ㄱ, ㄴ ② ㄴ, ㄹ ③ ㄷ, ㅁ ④ ㄱ, ㄴ, ㄹ ⑤ ㄴ, ㄹ, ㅁ 정답. ④ 해설. * ㄱ 때문에 난이도에 비해 오답률이 높은 문제였다. 문제에서 신규 주택시장으로 시장을 한정지었으므로 이의신청은 받아들여지지 않을 듯하다. ㄱ. 주택가격 하락이 기대되면 착공량이 감소하므로 '신규' 분양공급은 감소한다. *기존주택 시장에서 현재의 매도 공급이 증가하는 것과 구분할 것* 따라서, 주택가격의 하락 기대는 신규주택시장에서 공급..

[33회 기출/2022년] 부동산학개론 3.토지의 용어

3. 토지는 사용하는 상황이나 관계에 따라 다양하게 불리는 바, 토지 관련 용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도시개발사업에 소요된 비용과 공공용지를 제외한 후 도시개발사업 전 토지의 위치•지목•면적 등을 고려하여 토지 소유자에게 재분배하는 토지를 환지라 한다. ② 토지와 도로 등 경계사이의 경사진 부분의 토지를 법지라 한다. ③ 고압송전선로 아래의 토지를 선하지라 한다. ④ 소유권이 인정되지 않는 바다와 육지 사이의 해변 토지를 포락지라 한다. ⑤ 도시개발사업에 필요한 경비에 충당하기 위해 환지로 정하지 아니한 토지를 체비지라 한다. 정답. ④ 해설. ④ 해당 내용은 빈지에 관한 설명이다. 난이도 하

[33회 기출/2022년] 부동산학개론 2. 토지의 특성

2. 부동산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토지는 물리적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부동산시장이 국지화 된다. ② 토지는 생산요소와 자본의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소비재의 성격은 가지고 있지 않다. ③ 토지는 개별성으로 인해 용도적 관점에서도 공급을 늘릴 수 없다. ④ 토지의 부증성으로 인해 토지공급은 특정 용도의 토지에 대해서도 장•단기적으로 완전 비탄력적이다. ⑤ 토지는 영속성으로 인해 물리적•경제적인 측면에서 감가상각을 하게 한다 정답. ① 해설. ② 토지는 생산요소와 자본의 성격 및 소비재의 성격 모두 가지고 있다. ③ 토지의 인문적 특성 중 하나인 용도의 다양성으로 인해 이행과 전환을 통해 부족한 용도의 토지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④ 토지의 물리적 공급은 증감이 불가능하므로 완전비탄력적..

[33회 기출/2022년] 부동산학개론 1.부동산 정착물

1. 토지의 정착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구거 ② 다년생 식물 ③ 가식중인 수목 ④ 교량 ⑤ 담장 정답. ③ 가식중인 수목 해설. 부동산정착물이란 토지에 부착되어 지속적으로 이용된다고 인정되는 물건을 의미한다. 따라서 구거, 다년생식물, 교량, 담장은 토지의 일부로 취급되는 부동산 종속정착물에 해당한다. ③번 가식중인 수목은 본식 전 임시로 심어둔 묘목을 의미하므로, 부동산이 아닌 임차자 정착물과 같은 동산으로 구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