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학개론 22

[33회 기출/2022년] 부동산학개론 2. 토지의 특성

2. 부동산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토지는 물리적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부동산시장이 국지화 된다. ② 토지는 생산요소와 자본의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소비재의 성격은 가지고 있지 않다. ③ 토지는 개별성으로 인해 용도적 관점에서도 공급을 늘릴 수 없다. ④ 토지의 부증성으로 인해 토지공급은 특정 용도의 토지에 대해서도 장•단기적으로 완전 비탄력적이다. ⑤ 토지는 영속성으로 인해 물리적•경제적인 측면에서 감가상각을 하게 한다 정답. ① 해설. ② 토지는 생산요소와 자본의 성격 및 소비재의 성격 모두 가지고 있다. ③ 토지의 인문적 특성 중 하나인 용도의 다양성으로 인해 이행과 전환을 통해 부족한 용도의 토지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④ 토지의 물리적 공급은 증감이 불가능하므로 완전비탄력적..

[33회 기출/2022년] 부동산학개론 1.부동산 정착물

1. 토지의 정착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구거 ② 다년생 식물 ③ 가식중인 수목 ④ 교량 ⑤ 담장 정답. ③ 가식중인 수목 해설. 부동산정착물이란 토지에 부착되어 지속적으로 이용된다고 인정되는 물건을 의미한다. 따라서 구거, 다년생식물, 교량, 담장은 토지의 일부로 취급되는 부동산 종속정착물에 해당한다. ③번 가식중인 수목은 본식 전 임시로 심어둔 묘목을 의미하므로, 부동산이 아닌 임차자 정착물과 같은 동산으로 구분한다.